크리스틴 델피-가부장제의 정치경제학
❶ 주적
크리스틴 델피
지음
엮음
김다봄·이민경
옮김

부르주아의 아내를
부르주아라고 부르는 것은
플랜테이션 농장주의 노예를
농장주라고 부르는 것

종이책
7,000
전자책
오디오북
세트
발행일
2022.11.01.
쪽수
80쪽
판형
105 × 170 mm (무선)
ISBN
979-11-89623-17-3
추천사
첫 문장
‘여성해방운동Mouvement de libération des femmes’ 창립 이후, 프랑스와 미국을 비롯해 이 문제가 다루어진 모든 곳에서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은 페미니즘 운동 바깥에서 형성된 전통적인 공산주의자와 좌파 집단의 공동 노선으로 대표되었으며, 좌파 집단 활동가들의 운동에 널리 퍼져 있었다.
끝 문장
이를 위해서 해당 집단은 가부장제 파괴에 대한 의지를 명확히 그리고 공식적으로 천명하고, 이 파괴를 끝까지 이뤄내고자 하는 혁명적 전투에 실질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책 소개

‘유물론 페미니즘’ 창시자
크리스틴 델피의 핵심 이론서.
1970년 프랑스 사회과학계를 달군
논고 〈주적〉 완역.

우리는 계급으로서의 여성을 사유해야 하며,

가부장제 파괴를 끝까지 이뤄내고자 하는 혁명적 전투에 참여해야 한다.

차례
보기
닫기
지은이 소개
엮은이 소개
크리스틴 델피
Christine Delphy

페미니스트 사회학자. 프랑스 여성해방운동의 핵심 인물이자 20세기 페미니즘에 한 획을 그은 이론가다. 1970년 『파르티잔Partisans』에 발표한 글 『주적L'ennemi principal』을 통해 자본주의하의 계급으로서 여성의 주요한 적은 가부장제임을 지적했으며 ‘유물론 페미니즘’이라는 분야를 만들어냈다. 그에 따르면 태어나면서부터 하나의 계급에 속하도록 운명 지어진 범주로서 여성은 하나의 카스트를 이루며, 가부장제 파괴 없이 여성 해방은 불가능하다. 그는 계급론에 가려져 여성 집단이 처한 현실이 거의 조명되지 않았던 시절 이를 급진적으로 가시화하며 ‘억압’이라 명명한 거의 최초의 학자다.

지은이 소개
엮은이 소개
크리스틴 델피
Christine Delphy

페미니스트 사회학자. 프랑스 여성해방운동의 핵심 인물이자 20세기 페미니즘에 한 획을 그은 이론가다. 1970년 『파르티잔Partisans』에 발표한 글 『주적L'ennemi principal』을 통해 자본주의하의 계급으로서 여성의 주요한 적은 가부장제임을 지적했으며 ‘유물론 페미니즘’이라는 분야를 만들어냈다. 그에 따르면 태어나면서부터 하나의 계급에 속하도록 운명 지어진 범주로서 여성은 하나의 카스트를 이루며, 가부장제 파괴 없이 여성 해방은 불가능하다. 그는 계급론에 가려져 여성 집단이 처한 현실이 거의 조명되지 않았던 시절 이를 급진적으로 가시화하며 ‘억압’이라 명명한 거의 최초의 학자다.

옮긴이 소개

이민경

페미니스트. 그 어떤 여성도 여성이라는 이유로 삶의 일부를 포기해야 하는 순간을 맞지 않기를 바라며, 그런 날을 앞당기기 위해 노력 중이다. 학부에서 불문학과 사회학을 배웠고 대학원에서 통번역을 공부했다. 『우리에겐 언어가 필요하다』 등 여러 권의 책을 썼으며 다양한 페미니즘 저작을 옮기고 펴냈다.

김다봄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어과와 동 대학 통번역대학원 한불과를 졸업했다. 알제리에서 2년간 일한 것을 시작으로, 현재는 프리랜서로 기술통번역과 출판번역을 넘나들며 일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컬티시』(공역), 『미란다 복제하기』(출간 예정)가 있다.

카드뉴스
북트레일러